♥️7분 빠른 소식 전달해 드립니다♥️

탄자니아 독도기념주화 발행 -한일 갈등 속 '한국땅 독도' 기념주화 출시 본문

사회

탄자니아 독도기념주화 발행 -한일 갈등 속 '한국땅 독도' 기념주화 출시

핫한연예뉴스 2019. 9. 15. 15:59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로 촉발된 한일 간 갈등이 두달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극일' 분위기 속에 국민들은 자발적인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고, 매년 진행되던 독도방어훈련은 올해는 동해영토수호훈련으로 확대돼 8월 말 실시됐습니다.

7월 중순엔 일본이 도쿄올림픽 조직위 홈페이지에 독도로 추정되는 섬을 표기한 일본 지도를 게재해 우리 정부가 공식 항의하는 일도 있었죠.


이런 와중에 독도가 '한국 땅'이라고 표기된 기념주화가 발행돼 눈길을 끕니다.

지난 7월 발행돼 국내외에서 판매되고 있는 5온스(155.5g)짜리 순은 색채 기념주화로, 푸른 바다에 동도와 서도가
떠 있는 모습이 마치 실물처럼 새겨져 있습니다.

'DOKDO'라는 영문 표기에, 'THE LAND of KOREA', 즉 '한국의 땅'이라는 뜻의 문구도 들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주화는 어디서 발행된 것일까요? 당연히 우리나라겠지,
생각하는 순간 눈에 들어오는 것은 'TANZANIA'라는 글씨와 탄자니아의
국장 문양입니다.

 액면가 '3000 Shillings(탄자니아 화폐단위)'라고 표기돼 있는, 탄자니아 중앙은행에서 발행된 엄연한 법정 통화인데요.


사실 독도가 한국땅으로 표기된 기념주화도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앞서 2005년에는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2000실링 짜리 독도 기념주화가 발행됐습니다.


또 2010년 벤쿠버동계올림픽 직후에는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 기념주화가 영국령인 남태평양의 투발루에서 발행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앞면에는 김연아 선수의 모습이, 뒷면에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얼굴이 새겨지게 된 것이죠.

이 밖에도 김수환 추기경의 기념주화가 2009년 라이베리아에서, 6·25 전쟁 60주년 기념주화가 2010년 니우에에서 발행되는 등 한국과 관련된 기념주화가 제3국에서 발행되는 사례는 종종 있어왔습니다.

다시 독도로 돌아가 볼까요. 이렇게 제3국에서 발행된 독도 기념주화가 유통되고 있지만, 한국은행이 독도 기념주화를 발행한 적은 아직 없습니다.

또 당장은 발행 계획도 없다는 입장입니다. 외교적 민감성 등을 고려한 조치라지만,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10여년 전부터 국내외 화폐와 우표를 수집하고 분석해 온 이상현 ㈜태인 대표는 "기념주화는 금·은 등 금속의 소재적 가치, 미적 가치와 희소성 때문에 전 세계 수집가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퍼져나가며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자칫 일본이 먼저 기념주화를 발행할 경우 국제적인 선점 효과가 우려된다."며 "이제 우리가 독도 기념주화 발행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2014년 국회 기획재정위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독도 기념주화가 우간다에서 발행됐는데, 언제까지 외국에서 들여올 것인가" 하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듬해 국감에서는 "고인돌도 기념주화를 만드는데, 더 중요한 독도와 관련된 기념주화는 왜 안 만드냐." 하는 지적이 나오는 등 독도 기념주화 발행 문제는 종종 제기돼 왔습니다.






Comments